![실내 자율주행 로봇 딜리플레이트. [사진 제공 = 우아한형제들]](https://file.mk.co.kr/meet/neds/2020/11/image_readtop_2020_1118665_16041903604412469.jpg)

우아한형제들에 따르면 실내 서빙로봇 `딜리플레이트`는 출시 1년 만에 전국 186개 식당에 241대 도입됐다. 지난해 11월 렌털 프로그램을 통해 선보인 딜리플레이트는 총 4단으로, 한 번에 4개 테이블에 음식을 서빙할 수 있다. 최대 적재 용량은 50㎏이다.
종업원이 딜리프레이트 선반에 음식을 놓고 테이블 번호를 누르면 자율주행 시스템을 통해 최적의 경로로 음식을 운반한다. 도중에 장애물을 마주면 스스로 피해간다. 우아한형제들 측은 1인 식당 등 최소 인원으로 운영되는 곳에서 딜리플레이트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.
현재 딜리플레이트 렌탈 프로그램은 24개월과 36개월 약정 2종류다. 설치와 렌탈요금을 합산해 모델별 월 평균 비용은 36개월 약정 기준 60만원대다. 이는 종업원 1명을 고용했을 때 주휴수당 등을 제외하고 최저임금 기준 하루 5시간, 14일간 발생하는 비용이다.
![노브랜드버거 역삼점 햄버거 자동 조리 장비. [사진 제공 = 신세계푸드]](https://file.mk.co.kr/meet/neds/2020/11/image_readmed_2020_1118665_16041903604412470.jpg)

아울러 비대면 트렌드 확산에 따라 별도의 픽업 존을 구성하고 서빙 로봇이 음식을 전달하도록 했다. 고객은 키오스크에서 메뉴를 주문하고 픽업 존에서 기다리면 서빙 로봇이 전달해주는 음식을 주문번호와 음성 안내를 통해 확인한 후 받으면 된다.
KFC는 최근 현대로보틱스와 치킨로봇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. 치킨로봇은 염지부터 밀가루 옷을 입히는 브레딩, 쿠킹까지 전 조리 과정을 자동화한 것이 특징이다. 이를 통해 주방 기기 위험 요로소부터 노출을 최소화하고, 운영 효율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.
![롯데리아 착용형 로봇기기 엑사W. [사진 제공 = 롯데지알에스]](https://file.mk.co.kr/meet/neds/2020/11/image_readbot_2020_1118665_16041903604412471.jpg)

이밖에 롯데리아는 엑소아틀레트아시아의 착용형 로봇기기 `엑사W`를 시범 도입했다. 종업원이 로봇을 착용하고 작업하면 최대 16㎏의 무게를 경감시키는 효과를 낸다. 롯데리아 측은 엑사W를 통해 종업원의 업무 재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.
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드마켓에 따르면 전세계 푸드테크 시장은 연평균 5.8%씩 성장해 2022년에는 약 2500억달러(약 298조원)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.
[신미진 기자 mjshin@mkinternet.com]
[ⓒ 매일경제 & mk.co.kr,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]
November 01, 2020 at 07:26AM
https://ift.tt/2JibjE0
알바보다 낫네…로봇 장착하는 레스토랑 - 매일경제 - 매일경제
https://ift.tt/37m0rNv
No comments:
Post a Comment